console 포트와 pc를 연결하는 것을 콘솔 케이블이라고 한다
Packet Tracer 사용 시 IP Configuration과 Command Prompt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
ex) 이름으로 예를 들면 성은 네트워크 주소, 이름은 호스트 주소로 표현된다
라우터를 중심으로 하나에 같은 ip가 부여될 수 없음
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-> 사용자 입장 / DHCP Client
다음 IP 주소 사용 -> 유저 입장 / Static
IP 부여 방식
Dynamic -> 동적 IP 주소 할당 / 유동 IP 할당
Static -> 정적 IP 주소 할당 / 고정 IP 할당
DHCP Client가 있다는 것은 DHCP Server가 있다는 뜻이다
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를 클릭할 시 해당 보기와 같이 실행된다
PC0에서 PC1으로 갈 때는 Gateway가 필요 없다
PC7과 PC8의 IP 주소를 같게 적었을 때
This address is already used in the network
해당 메시지가 뜨며 충돌이 일어난다
그렇기 때문에 앞서 192.168.10.2를 부여했으면 다음 PC에서는 192.168.10.3을 부여해 줘야 한다
각 PC에서 서로 Ping을 주고받으면 4번씩 Reply 되는 걸 볼 수 있다
서로 통신이 되어야 되기 때문에 상대 측의 Ip address를 입력해야 한다
[PC 설정 및 테스트]
01.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
C:\ping [옵션] [목적지 IP 주소/도메인 이름]
<옵션>
-n: 횟수 ex) ping -n 10 192.168.10.3
-t: 연속 출력 ex) ping -t 192.168.10.3 -> 종료할 때는 Ctrl+C
C:\>ping 192.168.10.3
Pinging 192.168.10.3 with 32 bytes of data:
Replay from 192.168.10.3: bytes=32 time<1ms TTL=128
Replay from 192.168.10.3: bytes=32 time<1ms TTL=128
Replay from 192.168.10.3: bytes=32 time<1ms TTL=128
Replay from 192.168.10.3: bytes=32 time<1ms TTL=128
Ping statistics for 192.168.10.3:
Packets: Sent = 4, Received = 4, Lost = 0 (0% loss),
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-seconds:
Minimum = 0ms, Maximum = 0ms, Average = 0ms
C:\>
HUB는 쉽게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
HUB를 사용하는 이유는 편의성 때문이다
정확한 시간 및 빠르고 느림은 알 수 없지만 시간은 어림잡아 예측할 수 있으며,
TTL은 Router를 거치는 갯수라고 보면 된다
C:\User\Administrator>tracert 8.8.8.8로 구글로 가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경로 추적을 했을 때
* 표시는 응답이 없거나 삭제된 것이고, 오른쪽에 나와 있는 것이 어떤 router를 거쳐서 추적되는 경로인지 확인하는 것이다
*홉 -> router의 갯수
02. 경로 추적
C:\>tracert 192.168.10.3
Tracing route to 192.168.10.3 over a maximum of 30 hops:
1 0 ms 0 ms 0 ms 192.168.10.3
Trace complete.
03. PC 네트워크 상태 확인
C:\netstat [옵션]
<옵션>
-e: 이더넷 통계
-a: 모든 네트워크 연결 상태
-n: 서비스를 숫자로 표기
04. 네트워크 장비
1) 스위치(Switch)
<운영 모드>
> 사용자 모드
Switch(호스트명)>(일반 사용자 프롬프트)
Switch> <-- 일반 사용자 모드
> 관리자 모드
Switch>enable
Switch#
사용자 모드에서 해당 파란색 네모칸의 명령어를 다 사용할 수 있다
관리자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아까 사용했던 enable 명령어를 볼 수 있다
> 전역 설정 모드
Switch#configure terminal
Switch(config)#
> 인터페이스 모드
Switch(config)#interface vl 1
Switch(config-if)#
> 라인 모드(vty)
Switch(config)#line vty 0 4
Switch(config-line)#
* 0 4는 동시에 5명이 접속하도록 세션을 여는 것
ex) 0 9일 경우 동시에 10명 접속 가능
> 라인 모드(console)
Switch(config)#line console 0
Switch(config-line)#
running-config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, startip-config도 가끔 사용된다
running-config -> Switch에 설정된 모든 사항을 볼 수 있다
이 Switch에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show run을 하면 내역을 다 확인할 수 있다
이름은 Switch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,
위에서 설정한 no ip domain-lookup이 설정되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
Enter 키를 누르면 하나씩 확인할 수 있고,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한 페이지 전체를 볼 수 있다
마지막 부분에 line con 0로 설정된 것도 확인할 수 있으며, exec-timeout 0 0 타임아웃도 설정된 것이 보여진다
*느낌표(!) -> 나중에 설정했을 때 설정되는 항목들의 자리(아직 설정하지 않아서 느낌표로 보여짐)
RAM은 휘발성 메모리
NV-RAM ~ ROM까지는 비휘발성 메모리
컴퓨터 부팅 시 FLASH를 통하고 startup-config에서 정보를 읽고 RAM에서 로딩을 시킨다
모든 컴퓨터 및 프로그램은 RAM에서 시작된다
또한, RAM에서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running-config라고 불린다
*RAM(running-config) = Active-config
NV-RAM(startup-config) = Backup-config
라고 불리기도 한다
2) 설정 정보 저장
Switch#write
Swtich#copy run start
3) 호스트명 변경
Switch(config)#hostname SW1
4) 스위치 초기화
Swtich#erase start
5) 패스워드 설정
[평문]
> 콘솔 패스워드
Switch(config)#line con 0
Switch(config-line)#password cisco
Switch(config-line)#login
> enable 패스워드
Switch(config)#enable password cisco
>원격 접속 패스워드
enable password를 설정했을 때
show run을 하여 설정 내역을 보게 되면 enable에 password cisco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
[암호화 패스워드]
> enable 패스워드
Switch(config)#enable secret 1234
secret 패스워드를 설정할 때 기존 패스워드와 동일하면 안 된다
다르게 설정 후 do sh run을 하여 사용 내역을 살펴보면,
위는 암호화 패스워드, 아래는 평문 패스워드가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
*평문 패스워드와 암호화 패스워드가 충돌이 나면 암호화 패스워드가 우선으로 설정된다
> 암호화 패스워드 활성화
Switch(config)#service password-ecription
> 암호화 패스워드 비활성화
Switch(config)#no service password-ecription
이 시간 이후에 평문으로 설정된 것들은 평문으로 설정된다
평문을 암호화시키는 건 물론이고, 이후에 평문으로 가는 것들도 다 암호화 설정된다
세 번째 네모칸이 내가 설정한 암호
아래에 나오는 08701E1D5D는 일반 알고리즘으로 cisco에서 만든 것으로 참고하면 된다
6) 배너 설정
Switch(config)#banner motd $Welcome to PSE SW7$
7) 스위치 LAN 환경
> 인터페이스: vlan1
> NIC
>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
Switch(config-if)#int vl 1
Switch(config-if)#ip add 192.168.10.100 255.255.255.0
Swtich(config-if)#no shutdown
Swtich(config)#ip default-gateway 192.168.10.1
Switch(config)#int fa0/0
Switch(config-if)#ip address 192.168.10.1 255.2555.255.0
Swtich(config-if)#no sh
GigabitEthernet 0/1와 0/2는 kt와 연결되며 UP 링크라고 불린다
위 네모는 PC에 연결되는 24 포트로 DOWN 링크라고 불린다
그리고 아래에 나오는 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
vlan1이라는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
<자주 사용해야 되는 키 설명>
1) 위 방향키: 이전 명령어 출력
2) [Tab] 키: 명령어 자동 완성 기능
3) 물음표(?)
4) 한 번에 관리자 모드로 전환
> end, Ctrl+Z
5) 무한 도메인 서버 검색 탈출
> Ctrl+Shift+6
6) DNS 질의 해제(Console)
Switch(config)#line console 0
Switch(config-line)#no ip domain-lookup
7) 세션 타임아웃 설정
Switch(config-line)#exec-timeout 0(분) 0(초)
ex) 1분 30초로 설정하고 싶을 때 -> Switch(config-line)#exec-timeout 1 30
'Cisc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.04.21 Cisco 1-4 (0) | 2024.05.26 |
---|---|
2024.04.28 Cisco 1-6 (0) | 2024.05.26 |
2024.04.27 Cisco 1-5 (0) | 2024.05.26 |
2024.04.13 Cisco 1-1 (0) | 2024.04.14 |
2024.04.14 Cisco 1-2 (0) | 2024.04.14 |